세 번째 키워드는 '갈팡질팡' 은행권, 이번엔 실수요자 '예외' 경쟁?이네요. <br /> <br />가계 대출 규제에서 실수요자를 예외로 두는 은행이 늘고 있다는 거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앞서 살펴본 대로 은행권이 그동안 이복현 금감원장 발언에 따라 대출 금리를 올리고, 한도까지 조여왔는데요. <br /> <br />최근 이 원장 발언은 '실수요자 보호'에 방점이 찍혔거든요. <br /> <br />실수요자까지 대출을 옥죄어서는 안 된다고 하자, <br /> <br />은행권이 관련 방안을 추가로 내놓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가장 먼저 유주택자 대출을 막겠다고 발표한 우리은행부터 발 빠르게 움직였는데요. <br /> <br />우리은행은 지난 9일부터 수도권 주담대와 전세대출 대상을 무주택자에 한정하기로 했죠. <br /> <br />그런데 여기에 예외를 둔 겁니다. <br /> <br />결혼을 앞둔 사람이나 자녀교육, 직장 변경 등의 사유가 있을 때는 1주택자라도 대출을 받을 수 있게 했습니다. <br /> <br />신한은행은 어제부터 유주택자 주담대 제한에 나서면서, 예외 조건을 걸었는데요. <br /> <br />새로운 주택 구입 목적의 주택담보대출 실행 '당일'에 기존에 가지고 있던 주택을 파는 조건으로 계약을 맺었다면, 대출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. <br /> <br />KB 국민은행도 기존 주택 처분 등을 조건으로 1주택자 주택담보대출을 허용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은행권 대출 정책,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정부와 금융당국이 실수요자 보호 강화를 거듭 강조하고 있는 만큼, <br /> <br />은행권도 여기에 맞춰 관련 대책을 마련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앞서 살펴본 1주택자 조건부 주담대 허용이 대표적인데요. <br /> <br />은행권에서는 이 '실수요자'를 어떻게 정의할지를 두고 고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실수요자 심사 전담 조직을 운영하면서, 세밀하게 따져보고 대출 규제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기존에 가산금리 줄인상으로 대출금리를 올려왔던 것과 관련해서는 인하로 방향을 틀진 않는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은행권 취재를 해보니, 올해 초 '상생 금융' 기조에 따라 가산금리를 많이 내렸다고 하거든요. <br /> <br />그래서 최근 인상 릴레이에도 금리 수준 자체가 엄청 높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분위기였고요. <br /> <br />또 자칫 금리를 내렸다가 대출 수요를 자극할 수 있는 만큼 이런 부분에는 신중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이루고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형원 (lhw90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91117201909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